카테고리 없음

[통계] 통계학에 궁금한 것들에 대해서 ( 반의 반토막이 난 출생아 수 / 생기는 문제점 - 대학교 통합(경북대 - 금오공대) )

haahah 2023. 12. 31. 16:17
반응형

1. 통계학 원론 일독 

 

2. 분석방법론 + 통계 툴 분석 같이 있는 책들 보기 

 

spss / R / Sas 분석과 관련 통계이론을 나열한 책 

 

행정학 분야 - 분산분석 회귀분석 시계열분석 구조모형분석 

 

 


 

 

사실 이런 원론적인 것들 보다 %로 이루어진 통계청의 자료들이 궁금해서 글을 쓰게 되었다. 

 

https://researchguide.cau.ac.kr/searching/stats

 

학술·연구정보가이드: 자료 검색: 국내외 통계자료 안내

학술·연구정보가이드: 자료 검색: 국내외 통계자료 안내

researchguide.cau.ac.kr

 

 

위는 통계자료 사이트에 대한 내용이다. 

 


| 출생아 수 

 

 

 

 

50여년 전 인구 100만의 출생아 수에 비해 현재는 1/4토막이 나게 되었다. 

 

하도 여러 신문기사에서 출산율에 대해서 문제가 있다는 기사를 많이 냈었는데 50년전에 비교하면 문제가 심각하긴 하다.

 

무엇이 문제일까?

 


 

이 부분에 있어

 

출생아 수의 감소는 곧 모든(인프라, 정치 사회 경제)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 생각하여 알아보게 되었다.

 

사실 간단하게 생각해보면 경제활동인구의 감소가 이루어 질 것이고

 

생산의 감소는 공급-수요의 감소로 경제와 연관되어 감소될 것이고 

 

경제는 모든 부분과 연관성이 있지 않을까 싶었다. 

 

 

 

( 경제학 개략적인 이해가 필요하지만...! 어렵다 ! )

 

 

|사회간접자본|

 

소비재에 포함되지 X  /  경제활동을 위한 필수 사회기반시설 의미 

 

 

|가격 탄력성|

 

소비재의 가격이 변함에 따라 수요와 공급이 얼마나 변하는지 나타내는 지표

 

수요의 가격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

 

 : 대체제, 소득 대비 비율, 필수재인지 사치재인지, 정의된 기간, 정의된 시장

 

대체제의 종류가 많다면 가격 탄력성이 높아질 것이다 

필수재는 비탄력적인 가격 탄력성을 가진다 

중독성은 비탄력적인 가격 탄력성을 가진다 

기간은 장기적일 떄 더 탄력적이다 

시장은 정의가 넓다면 탄력성이 떨어진다 

 

대체될 수 있는 것들이 많다면 가격이 변하게 된다면 대체품으로 변동되기에 가격 탄력성이 높아진다 

필수와 중독적이라는 것은 고정적인 지출이나 끊을 수 없는 소비를 의미하기에 가격이 변동하더라도 수요는 변하지 않을 것이다 

 

 

공급의 가격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 

 

: 생산비증가율, 생산시간, 유통기간, 생산요소의 공급, 시간

 

 

 

|교차탄력성|

 

관련재의 가격 변화에 따른 소비재의 수요 변화를 나타내는 수치

 

소비재 A의 수요변화율 % / 소비재 B의 가격 변화율 %

 

이 값이 양수 / 음수로 나뉠 수 있다. 

 

1. 소비재 B의 가격변화 - 소비재 A의 수요변화 + : 대체제 2. 소비재 B의 가격변화 - 소비재 A의 수요변화 - : 보완재 

 

1. 의 경우에는 B의 가격이 오른다 - A의 수요가 증가한다 / B의 가격이 내린다 - A의 수요가 감소한다

 

: ++이거나 -- : 대체제(밀/쌀)

 

2. 의 경우에는 B의 가격이 오른다 - A의 수요가 감소한다 / B의 가격이 내린다 - A의 수요가 증가한다

 

: +-이거나 -+ : 보완제(치킨/맥주)

 


 

아니 그래서 직간접적으로 개인에게 부과되는 / 문제가 되는 부분이 무엇인가?

 

1. 초중고 + 대학교의 정원부족 - 교사의 정원 축소 필요, 초중고 + 대학교의 폐교 및 구조조정 or 통폐합 필요

 

이부분에 있어서 최근에 문제가 되었던 경상도의 대학교 통폐합이 생각이 난다. 

 

경북대 - 금오공대의 통합 추진 : ? 

 

2. 더 찾아봐야겠다. 

 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